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V 보다 재미있는 유튜브의 세계 1인 미디어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I.T 인터넷/유튜브 2018. 10. 3. 15:03



    미국 TV 시청률 조사업체인 '닐슨'이 최근 유튜브 등 스트리밍(트위치,유튜브등) 서비스 시청자를 시청률 조사대상으로 포함하기로 하였습니다.


    지상파와 유선방송을 통해 TV 포르그램을 보는 사람은 물론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으로 영상물을 보는 사람 모두를 포함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를 두고 미국 사회에서는 미디어 권력 구도에 지각변동이 일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2007년 애플에서 아이폰 1세대를 발표하고 우리 삶의 모습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놓은지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시작된 삶의 변화는 이제 영원할 줄 알았던 TV로 대표되던 미디어 제왕의 자리를 내놓아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유튜브, 카카오톡, 인스타, 페이스북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아프리카TV, 트위치, 카카오TV등)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1인 미디어' '1인 방송'의 증가가 적잖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 방송이 늘면서 방송 컨텐츠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방송 참여 욕구와 컨텐츠를 만들고 진행하는 창작자와의 소통욕구를 방송에 녹여냄으로써 기존 TV 미디어가 가지고 있던 단방향 방식의 소통에서는 느낄 수없는 양방향 소통 방식의 욕구를 방송에 녹여냄으로써 창작자와 시청자 사이에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이 1인 방송의 최대 강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1인 미디어'시장이 증가 함에 따라 '1인 미디어'를 통한 광고 시장또한 커지게 되었고, '1인 미디어'를 진행하는 창작자에게도 더 많은 수익이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청소년들의 꿈은 유튜버나 게임BJ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합니다. 또한 최근 유튜브를 시청하기 시작하는 평균연령대는 18개월 부터라고 하니, '1인 미디어'의 영향력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커져갈것은 분명합니다.


    제와적인 TV의 시대는 져물고 있습니다. 시대의 흐름을 앞서 캐치하고 미리미리 준비하여서 빠른 변화의 시대에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유튜브에서 공개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 모바일 기기에서만 하루에 평균 1시간 이상 유튜브를 시청한다.


    ▷ 1분당 400시간 이상 분량의 영상이 업로드 된다. 즉 1시간에 2만4000시간 분량, 24시간으로 환산하면 하루에 업로드 되는 영상 분량이 최소 57만6000시간이다. 하루에 신규로 올라오는 동영상을 한 사람이 하루 종일 유튜브 방송을 본다고 할 때 2만4000일이 걸린다. 연으로 환산하면 약 66년. 요약하면 하루에 올라오는 동영상 분량이 66년치.


    ▷ 유튜브는 90개의 국가에서 76개의 언어로 현지화되어 있다.


    ▷ 매월 동영상 시청을 위하 유튜브에 로그인하는 시청자는 15억 명에 달한다


    ▷ 2016년 3분기 기분, 2015년 동기간 대비 한국에서 업로드한 콘텐츠의 시간이 110% 이상 늘었고 한국 사용자의 유튜브 시청시간이 65% 이상 증가했다.


    ▷ 2016년 11월 기준, 국내 유튜브 채널 가운데 100만 구독자를 돌파한 채널이 약 50개, 10만 구독자를 돌파한 채널이 약 600개이다.




Designed by Tistory.